자.. 이제 하나하나 알아보자
저번 글처럼 먼저 신청자격이 되는지 확인 후 알아보자. (신청 시 기관검색을 통해 해당여부 확인가능)
과학기술인공제회 들어가보면 적립형 공제와 연금이 있다.
'공제'라는 말에서 느낌이 올 듯한데,
그렇다. 넣으면 무언가의 세금 혜택이 있는것
그럼 적립형 공제와 연금의 차이는?
적립형 공제는 적금이랑 비슷한데 "퇴직까지 부어서 받자"의 개념이고 재직동안 발생한 이자는 0~4% 낮은세율이 적용된다.
연금은 그냥 우리 퇴직연금을 과학기술인 공제회에 맡겨서 굴리는 것이다. (DC형)
혹시.. DC가 뭔지 모른다면 여길참조..퇴직연금 알아보기 (tistory.com)
퇴직연금 알아보기
이제 진짜 알아보자... 다들 직장다니면 퇴직은 먼 얘기라.. 관심이 없을 수도 있겠다 근데.. 위에가 뭐 같거나 시스템이 뭐 같거나 일이 뭐 같거나.. 등등 하면 관심이 많아지겠지? https://www.moel.go
yes98.tistory.com
그래서 여기서 한가지 더 알 수 있는 차이는
적립형 공제 사용 시 본인이 퇴직연금을 DB던 DC던 알아서 선택해서 굴리고, 개인추가금에 대한 혜택을 보는것
연금을 신청하면 DC형으로 본인의 직장에서 가지고있던 퇴직금을 과학기술인공제회에 넘겨주고 운용을 공제회에 맡기는것
*좀 더 자세히 정리된 표로 보자면... (출처: 과학기술인공제회)
*적립형 공제
가입기간은 가입시작일부터 퇴직까지이며, 최소 5만원~ 최대 200만원까지 매달 넣을 수 있다. (출처: 과학기술인공제회)
금리는 변동금리이며, 현재 연복리 3.52% 2020.7.1기준으로 표기되어있다.
세제혜택은 그림처럼 저율과세이다. 퇴직일까지 쭉 내서 퇴직시 일시금도 되고 연금(만55세이후)으로 수령도 가능하다.
다만, 일시금 수령시 이자에 대해 15.4% 일반과세(일반 은행 예/적금 만기 이자에 대한 세금과 동일)가 붙는다.
10년이상 부으면 중도해지시에도 이자 손해없이 받을 수 있다. 이거 할거면 일찍하는게 좋겠다.
정리하자면, 넣는 동안의 원금의 세제혜택과 연복리 3.52%를 보장 받고, 나중에도 세제혜택을 적용하여 연금으로 받을 수 있다.
IRP처럼 새액공제가 되는 것도 아니고, 적금처럼 기간설정해서 만기 환급도 아니지만 나름 괜찮은 이율에 저율과세 효과를 받을 수 있으니 DB를 유지하면서 뭔가 추가로 노후 대비를 하고 싶은 안정지향형이면 한번 고려해볼만 하다.
다음엔 연금관련 내용을 적어보려고 한다.
'재테크 > 재테크의 시작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으뜸 적금 (과학기술인공제회) (0) | 2021.03.03 |
---|---|
연금, 연금공제 (과학기술인공제회) (2) | 2021.03.02 |
의외로 모르는 사람이 많은 꿀 적금 (과학/기술인 한정) (2) | 2021.03.02 |
IRP 짧게만 알아보자 (2) | 2021.02.26 |
퇴직연금 알아보기 (2) | 2021.02.22 |